2023년 한국교회가 파송한 한국 국적 장기 선교사는 174개국 21,917명으로, 전년에 비해 약 1.3%(287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선교사 수는 2020년 168개국 22,259명→2021년 167개국 22,210명→2022년 169개국 22,204명으로, 팬데믹은 끝났지만 여전히 선교사 감소 추세에서 벗어나진 못했다.
장기 선교사 평균 연령은 2020년 52.1세→2021년 52.5세→2022년 53.1세→2023년 53.7세로 2021년부터 매년 평균 0.6세씩 증가했고, 10년 이내 은퇴 대상자인 60대 이상 선교사는 전체 선교사의 29.36%(6,435명)를 차지해 급속한 선교사 고령화 현상과 함께 선교사 은퇴 문제가 대두됐다. 이와 동시에 30~40대 선교 동원을 위해 한국교회의 사회적 이미지 제고와 다음세대 선교 동원 및 선교 훈련이 한국교회 선교의 중요 과제로 나타났다. 본지는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가 주관하고 한국선교연구원(KRIM)이 조사 및 발표를 맡은 ‘2023년 한국선교현황’의 주요 내용을 두 차례에 걸쳐 게재한다. <편집자 주>
7일 서울 노량진 KWMA 회의실에서 진행된 2023년 한국선교현황 발표회는 KWMA 협동총무 정용구 목사의 사회로 GP 대표 김동건 선교사의 기도, 사무총장 강대흥 목사의 인사말에 이어 한국선교연구원 홍현철 원장이 통계조사 결과를 보고하고,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됐다. 강대흥 사무총장은 “이 통계를 통해 한국교회의 선교 역량과 현황을 바라보면서 앞을 추론해 볼 수 있다”며 “이 통계 발표가 한국교회 안에 잘 전파되고 이해되길 바라고, 또 젊은 사람들이 마음에 부담을 갖고 선교적 헌신이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현철 원장은 “작년 11월 설문을 보내고 KWMA와 같이 논의했으며, 2월 초까지 각 교단과 단체와 기본적으로 3~4번 전화하고 보충하여 데이터를 투명성 있게 하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이번 선교 현황 조사 대상은 교단과 선교단체 223곳이며, 11월 17일부터 12월 말까지 온라인이나 문서파일로 회신받고, 미회신되거나 오류가 있는 것은 전화와 이메일로 보완했다.
◇2023년 한국선교현황 주요 통계는?
2023년 한국선교현황 보고에 따르면, 174개국을 대상으로 한국 국적 21,917명의 장기 선교사, 451명의 단기 선교사, 한국 선교단체가 파송한 타 국적 국제선교사 950명이 활동하고 있었다. 여기서 ‘장기 선교사’는 타문화권 선교에 직간접으로 기여하며 2년 이상 사역하는 한국 국적으로, 한국 내 분명한 파송 단체나 후원 주체가 있으며 선교사 모금을 하는 풀타임 사역자로 정의했다. 이에 개교회 파송 선교사와 해외 선교사역에 관여하지 않는 한인교회 목회자, 파송이 아닌 협력 선교사는 제외됐고, 국내 본부의 장기 사역자, 행정 사역자, 단체에 소속돼 관리 감독을 받는 자비량 선교사는 인정됐다. 부부 선교사는 2명으로 계산했으며, 교단 선교부와 전문 선교단체에서 중복된 이중 회원 1,222명은 제외했다.
한국 장기 선교사의 남녀 비율은 남자 48.1%, 여자 51.9%였고, 부부 선교사는 90.7%, 독신 선교사는 9.3%(남자 29.3%, 여자 70.7%)였다.
장기 선교사의 연령 분포에는 193개 단체(86.5%)가 응답했는데, 50대(38.55%), 60대(25.85%), 70대(3.51%) 등 전체의 67.91%가 50대 이상이었고, 29.36%는 60세 이상이었다. 반대로 30대(6.14%), 20대(0.78%) 등 6.92%만이 30세 이하였고, 40대는 25.17%였다. 전년 대비 60~70대 비율은 증가하고, 50대 이하 연령의 비율은 모두 감소해 평균 연령도 전년보다 0.6세 늘어난 53.7세였다.
홍 원장은 “50대 이하는 전 세대가 조금씩 줄어들지만, 60대와 70세 이상은 점점 늘어난 것을 균등 분할해 연령을 추산해 보면 최근 1년에 0.6세씩 평균 연령이 늘어나 53.7세로 추산된다”라며 “53.7세면 그 시대에 가진 사고관과 생각이 지금 새로운 세대와 사뭇 다르므로, 좀 더 선교사 연령층이 낮아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04년, 2012년과 더불어 2020년 이후를 보면 50~60대 구성이 점점 많아지는 경향을 보여, 10년 뒤가 되면 2명 중 1명은 60대 이상 선교사로 예측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홍 원장은 지난 30년간 연령별 장기 선교사 수의 추이를 소개하면서 “지금 선교사가 고령화됐다고 해서 너무 실망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30~40대를 보면 젊은 선교 헌신자의 비율이 줄었다는 것이지 (수가) 줄어들지는 않았다”라며 “한국선교를 새롭게 잘 조정한다면, 한국선교의 지속성을 위한 연령 구성의 긍정적인 면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40대 선교사는 1994년 582명→2004년 5,381명→2012년 8,347명→2023년 5,517명으로, 수치적으로는 2004년 때와 2023년이 비슷했다. 30대 선교사는 1994년 1,715명→2004년 4,686명→2012년 3,540명→2023년 1,346명이었다.
2023년 한 해 은퇴 선교사는 178개 단체(79.8%) 응답 기준, 1.25%에 그쳤다. 이를 전체 선교사 수로 환산하면 274명이 은퇴한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만약 70세에 은퇴한다면, 현재 60대 이상 선교사 6,435명(29.36%)이 10년 이내 은퇴 대상자가 된다. 이처럼 선교사 고령화 현상과 함께 은퇴 대상자도 늘고 있지만, 매년 실제 은퇴 숫자는 그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사역을 지속하는 선교사도 2020년 44.1%, 2021년 54.8%, 2022년 58.8%, 2023년 60.2%로 계속 증가했다. 장기 선교사가 은퇴한 후 거주하는 지역은 ‘사역을 지속하는 은퇴 선교사’는 70%가 해외에 거주했고, ‘사역을 중단한 은퇴 선교사’는 80%가 국내에 거주하고 있었다.
홍 원장은 “현 추세라면 선교사 은퇴 대상자들이 모두 은퇴하지 않더라도 10년 사이에 적으면 2~3천, 많으면 3~4천 명의 선교사 손실이 생기지 않을까 예상한다”며 “10년 후에는 60대 비율이 높아져 (선교사 사회가) 상당히 빨리 늙어갈 것으로, 한국교회가 미리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면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은퇴 연령 규정이 있는 곳은 46.5%인 92개 단체(2022년 91개 단체), 규정이 없는 곳은 53.5%인 106개 단체(2022년 94개 단체)로 나타나, 각 교단과 선교단체가 장기 선교사의 은퇴 규정과 은퇴 후 생활에 대한 대책을 파송교회와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이번 조사에는 선교사 은퇴와 관련한 재정 대책 항목도 추가해, 국민연금과 개인연금 관련 규정 상황도 파악했다. 국민연금에 대한 가입 규정이 없는 곳은 83개, 가입 권유는 50개, 가입 원칙은 34개, 가입 보조는 4개 단체에서 하고 있었다. 개인연금에 대한 가입 규정이 없는 곳은 104개, 가입 권유는 40개, 가입 원칙은 5개 단체에서 하고, 가입 보조 단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선교사의 은퇴 후 연금 제도에 좀 더 많은 관심이 요청됐다.
연금 이외에 선교사의 퇴직금이나 선교사 생활비 일정 부분을 충당할 수 있는 은급금 제도를 단체 또는 교단이 운영하는 곳이 28개, 위탁 운영을 하는 곳이 4개로, 이 32개 단체 소속 선교사는 전체 선교사의 37.2%에 해당했다. 그 외 은급금 관련 제도가 없는 곳은 112개 단체였다.
홍 원장은 “은급금 시스템을 갖춰놓지 않으면 사역 지속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한국선교 전반에 큰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라며 “규모가 500~1,000명 이상 단체는 반드시 은급금 부분을 생각해야 하고, 규모가 작아도 여러 단체가 함께 하거나 협의회가 주도해 같이 은급금 시스템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번에 ‘선교사 은퇴 후 재정 대책’에 대해 선교단체가 파송교회에 논의 및 협력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응답한 145개 단체 중 119개 단체(82.1%)가 파송교회와 논의하거나 협력을 요청한 적이 없고, 26개 단체(17.9%)만 선교사 은퇴 후 재정 대책을 논의하거나 협력을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선교단체와 파송교회가 선교사 은퇴 후 재정 대책과 관련한 논의와 소통이 더 많아질 필요가 제기됐다.
2023년 한 해 동안 은퇴를 제외하고 사역을 중단하거나 단체에서 탈퇴한 선교사 비율은 1.71%(153개 단체, 271명 집계, 전체 선교사 대비 375명 추정)로 전년 1.43%보다 약간 증가했다. 사역 중단 요인은 ‘기타 개인 사유’(93명), ‘사역 및 직업 변경’(64명), ‘선교사의 건강 및 질병’(47명), ‘소명 및 자질’(18명), ‘가족 및 재정 문제’(17명), ‘선교지 환경’(15명) 순이었다. 사역 중단의 주요한 세부 요인은 ‘개인 사유’(44명)가 가장 많았고, ‘목회 전환’(31명)과 ‘선교사 건강’(31명), ‘갈등’(현지, 동료, 단체 29명)이 뒤를 이었다.
홍 원장은 “전통적으로 선교사 중도 탈락의 가장 많은 요인이었던 ‘갈등’이 크지 않았고, 개인적 사유가 많았다. 또 코로나 때 높게 나타난 ‘사역 및 직업 변경’이 코로나 이후에 잦아들어야 하는데도 여전히 작년보다 많아진 것이 눈에 띈다”고 말했다.
연령별 사역 중단 선교사는 응답한 189명 중 50대(75명)가 가장 많았고, 60대(43명), 40대(42명), 30대(19명), 70대(8명), 20대(2명) 순이었다. 60대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개인 사유’를 제외한 사역 중단의 가장 높은 요인은 ‘목회 사역으로의 전환’이었다. 60대는 ‘건강’, ‘소천’ 등이 ‘개인 사유’와 함께 주요 사역 중단 이유로 나타났다.
홍 원장은 “100세 시대, 120세 시대를 이야기하는데 은퇴 연령이 정해지지 않은 곳도 있고, 매우 이르게 은퇴시키는 곳도 있었다”라며 “교단은 이미 은퇴 나이가 정해져 있지만, 소규모 단체나 초교파 단체에서 은퇴 나이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은퇴 연령을 정하는 것은 단체 정신, 소명, 사역 철학적 요소가 담겨 일괄적으로 되진 않지만, 이를 논의함으로써 은퇴 이후를 미리 준비할 기회가 된다”고 강조했다. 또 “만약 은퇴 이후 생활이 어렵기 때문에 생활형으로 목회 전환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본다”며 “은퇴 선교사들이 앞으로 어떻게 삶을 펼쳐 나갈 것인지에 대해 단체에서 각별히 관심을 가지고, 40~50대부터 상담하며 가이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신규 파송 및 허입 선교사의 비율은 2.91%로, 2022년 3.50%보다 감소했다. 신규 파송 선교사의 사역 대상 국가는 77개국으로, 한국(국내) 42명, 일본 37명, 동남아 I국 35명, 태국 29명, 필리핀 28명, 기타(국내 외국인, 순회, 미정) 27명, T국 17명, 동남아 C국 16명, 중앙아 K국 15명, 서남아 I국 13명, 미국 13명 등의 순이었다.
신규 파송 및 허입 선교사의 연령 분포는 40대(38.8%), 50대(25.4%), 30대(22.6%), 60대(7.0%), 29세 이하(4.8%), 70세 이상(1.4%)이었다. 신규 파송 및 허입 선교사의 연령에 따른 사역 대상국은 30대는 동남아 I국(9명), 일본(8명), 한국(8명) 순이었고, 40대는 한국(16명), 동남아 I국(13명), 일본(13명), T국(9명), 중동 J국(9명), 필리핀(8명) 순이었다. 50대는 필리핀(9명), 태국(9명), 일본(7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홍 원장은 “50대 이후 신규 파송 및 허입 선교사의 사역 국가는 다양한 문화가 있는 국가는 적은 편이고, 30~40대는 다양한 문화가 있는 국가를 좀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보였다”고 말했다.
장기 선교사 중 스스로 생활과 사역 재정을 조달하는 자비량(텐트메이커, 전문인) 선교사 비율은 15.79%로, 전체 선교사 수로 환산할 경우 3,406명으로 추산됐다. 장기 선교사 가운데 국내 본부 선교사는 2.95%(647명 추산)이었다. 장기 선교사의 주요 사역 대상은 해외 현지인 85.3%, 해외 한인(디아스포라) 6.7%, 선교사와 선교사 자녀 2.4%, 국내 외국인 3.9%, 기타 1.7%이었다.
사역 대상국은 한국을 포함하여 총 174개국으로, 상위 10개국은 미국(1,893명), 필리핀(1,380명), A권역(1,353명), 일본(1,256명), 태국(992명), 동남아 C국(851명), 동남아 I국(849명), 서남아 I국(592명), 동남아 V국(538명), 동남아 M국(503명)이었다. 한국은 1,410명이 사역하고 있었다. 대륙별로는 아시아(한국 포함) 58.6%, 북미 10.6%, 유럽 8.7%, 아프리카 8.4%, 중남미 4.5%, 중동 4.5%, 남태평양 3.1% 순이었고, 세부 권역별로는 동남아시아 26.8%, 동북아시아 15.5%, 북아메리카 10.6%, 한국 6.4%, 남아시아 6.2%, 동남아프리카 5.2%, 서유럽 4.8%, 중동 4.5%, 라틴아메리카 4.2%, 동유럽 3.9%, 중앙아시아 3.7%, 남태평양 3.1%, 북아프리카 1.7%, 서중앙아프리카 1.5%, 카리브해 0.3%, 기타(다수 국가 대상 순회 사역, 국내 여러 국적의 외국인 사역 포함) 1.6%로 나타났다.
국내에 거주하는 장기 선교사의 사역 유형(162개 단체 응답, 다중 선택 허용한 추정치)은 본부행정(기관, 연합) 527명, 국내 외국인교회 374명, 국내 외국인근로자 359명, 국내 외국인유학생 309명, 국내 다문화가정 276명, 선교 교육훈련 220명, 선교사 훈련 216명, 선교동원(미션플랜팅) 199명, 순회전도 185명, MK사역 119명, 상담·치유·케어 108명, 비즈니스(BAM) 78명, 선교연구·정보 74명, 성경번역 관련 56명, 국내 난민사역 43명, 방송·미디어·IT 41명, 의료선교 39명, 문서·출판 34명, 문화·스포츠 28명, 기타 사역유형 269명이었다.
해외에 거주하는 장기 선교사의 사역 유형(162개 단체 응답, 다중 선택 허용한 추정치)은 해외 교회개척 10,838명, 제자훈련 5,892명, 교육선교(학교) 2,610명, 지도자 양육 2,463명, 현지지역교회협력 2,365명, 선교동원(미션플랜팅) 1,891명, 선교교육훈련 1,878명, 캠퍼스선교 1,665명, 어린이·청소년 1,657명, 신학교 1,598명, 복지·개발 980명, 문화·스포츠 835명, 비즈니스(BAM) 759명, 의료선교 552명, 선교사훈련 416명, 난민사역 410명, 상담·치유·케어 333명, 성경번역관련 319명, MK사역 237명, 문서·출판 228명, 방송·미디어·IT 178명, 선교연구·정보 관련 97명, 기타 사역유형 1,000명이었다.
‘단기 선교사’의 정의는 타문화권에서 1년 이상, 2년 미만 계획으로 선교사역을 하는 한국인으로, 선교단체의 단기 선교사 자격으로 보냄 받은 자로 규정했다. 이에 따른 단기 선교사는 196단체(87.9%) 451명이었다. 또 한국 국내 단체가 파송한 타 국적 선교사는 59개 단체에서 76개국의 950명이 활동하고 있었다. 홍 원장은 “타 국적 선교사를 한국선교의 과업 달성을 위한 선교 자원의 확산으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세계선교의 동반자적이며 상호적 관계로 생각한다면, 단기적인 협력보다는 좀 더 장기적 차원에서 지원과 협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