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적 일의 가치, 결정 과정의 공유”

  •   
김선일 교수, 6일 복음과 도시 홈페이지에 칼럼 게재
김선일 교수 ©목회데이터연구소

김선일 교수(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선교와문화)가 6일 복음과도시 홈페이지에 ‘일터에서 함께 결정하라’라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김 교수는 “근대 개신교 노동윤리와 직업 소명은 자신의 세속적인 일도 하나님께서 주신 소명으로 받아들이고 성실하고 정직하게 행할 것을 가르쳤다”며 “하지만 성실, 인내, 정직의 기독교적 덕목을 강조하며, 무슨 일을 하든지 주께 하듯 하라(골 3:23)는 것으로는 처절한 일터 현실 속 그리스도인들에게 울림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이어 “물론 1세기에 박해받는 상황에서 믿지 않는 육신의 상전을 모시며 인내와 진실함으로 자기의 일을 감당한 신앙 선배들의 귀감은 여전히 위로가 된다”며 “하지만 많은 경우에 일터의 사람들은 수동적인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위에서 결정한 대로 지시에 따라 일할 뿐 자신이 하는 일이 전체 일의 계획과 진행 속에서 어느 부분을 맡고 있는지, 어떻게 목표하는 바에 기여하는지 모른다”고 했다.

그러면서 “들리는 말로는, 고급 기술을 다루는 대기업에서는 직원들이 일의 전체 맥락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분업화시킨다고 한다. 나중에 퇴사한 뒤에라도 그 기술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말이다”라며 “기업의 자기 보호적 정책은 결국 종사자들을 일로부터 더욱 소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의 신학이 제시할 수 있는 기독교적 가치는 무엇인가”라고 했다.

그는 “주도권과 통제력의 상실은 비록 일에 대한 책임 부담이 덜하더라도 자기가 하는 일의 가치를 경험하지 못하게 만든다”고 했다.

이어 “우울, 불안, 공황장애, 무기력증과 같은 정신적 질환들은 우리 사회에 쓰나미처럼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덮쳐온다”며 “우리가 깨어있는 시간 대부분을 일하면서 보낸다면, 일의 경험이 정신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대하다”고 했다.

또한 “일에서 재량권을 얻지 못한 대다수는 지금도 자신이 하는 일로부터 소외와 무의미라는 고통을 겪으면서 밥벌이의 신성한 임무를 묵묵히 감당한다. 인내와 순종을 가르치는 신앙의 권면이 일정한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일의 신학이 이와 같은 일터의 구조적 문제를 간과하고 오롯이 개인에게 성실과 인내로 일을 감당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기독교적 정신 승리로 비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일에 대한 기독교적 비전은 개인적 덕목의 차원뿐 아니라 일의 사회적, 구조적 문제에까지 포괄해야 한다”며 “일의 재량권을 갖지 못한 사람들이 정신적 고통을 겪는 현실에서 일의 신학이 내놓을 수 있는 해법은 무엇일까? 답은 성경에 있다”고 했다.

이어 “창조의 기사는 하나님께서 아담을 지으시고 그에게 주신 첫 번째 과업이 바로 결정권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지으시고 아담이 무엇이라고 부르나 보시려고 그것들을 그에게로 이끌어 가시니 아담이 각 생물을 부르는 것이 곧 그 이름이 되었더라’(창 2:19). 하나님은 동물과 새들을 지으시고 그것들을 아담에게 보여주시며 이름을 짓게 하셨다”며 “그리고 아담이 각 생물을 부른 대로 이름이 결정되었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창조 세계에 대한 청지기 권한을 부여하시는 첫 번째 상징적 사건은 바로 결정권을 주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아담의 결정 과정을 하나님은 관찰하시고, 그의 결정을 허락하셨다”며 “이름을 짓는 결정 과정에서 아담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의력과 상상력을 동원했을 것이다.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역량을 충분히 발휘해야만 했다”고 했다.

그는 “기독교적 일의 관점은 무엇이 달라야 하나? 그동안 일의 신학이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측면에서만 기독교적 일의 가치를 발견하는 경향이 있다”며 “회식 자리에서 술 마시지 않는 법, 정직하게 세금 내기, 주일 성수 하기, 직장에서 험담하지 않기 등과 같은 윤리적이고 방어적인 문제들을 다루었다”고 했다.

이어 “물론 이러한 것들은 여전히 신자 개개인이 직면할 수 있는 중요한 신앙 양심의 과제다. 신앙의 양심이 흔들리는 상황을 상대하고 극복해 내는 일터의 신앙인들을 위한 목회적 격려와 위로는 항상 필요하다”며 “그러나 오늘날의 일터에서 신앙이 있든 없든 사람들 대다수가 겪는 고통은 바로 일하면서도 일의 주도권과 재량권으로부터 소외되는 현실로부터 말미암는다. 그러나 성경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인간의 존엄함과 결정권을 인정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일터에서 결정권을 공유하는 것은 언뜻 낭만적으로, 또는 비현실적으로 들릴 수 있다. 데니스 바키가 AES의 최고경영자로 일할 때도 이사진과 대주주들로부터 그러한 우려와 공격에 시달렸다”며 “하지만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그와 같은 창의성과 결정권을 부여하셨다는 성경의 말씀을 믿는다면 진지하게 실천을 모색해야 할 가치가 충분하지 않은가? 더군다나, 오늘날 많은 사람이 바로 이 문제로 고통을 겪고 있다면 성경적 일의 신학이 일터의 세계에 줄 수 있는 선물이 되지 않을까”라고 했다.

이어 “먼저 작게라도 시작해 보자”며 “가정에서, 교회에서, 혹은 교회의 한 부서에서도 여러 결정해야 할 사안들이 있을 것이다. 가족 여행을 언제, 어디로 갈 것인지를 자녀들에게 연구하고 조언을 얻어서 결정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교회 소그룹에서 기도회 순서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구성원들이 직접 결정할 수도 있다. 한 교회는 자기 교회의 예배 시간마다 낭송하는 신앙고백을 교인들과 함께 결정했다”고 했다.

아울러 “물론 조언의 과정을 충실하게 거쳐야 한다. 결정 과정의 공유라는 기독교적 일의 가치가 교회와 가정에서부터 체득된다면 그 가치는 또한 믿음의 사람들을 통해서 세속의 일터로 스며들 것”이라며 “더욱더 결정 과정에 참여할수록 책임감과 즐거움도 늘어날 것이다. 그것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의 원형적 모습”이라고 했다.

#김선일교수 #김선일 #복음과도시 #칼럼 #결정권공유 #기독일보 #기독일보일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