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하나님에게서 떠나고 싶어 한다. 이는 하나님의 존재가 거북하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나님 없는 낙원을 꿈꾸며 스스로 신이 되려고 몸부림을 친다. 그러나 하나님을 떠난 순간부터 위험한 여행이 시작된다. 세상에 안전한 곳은 없다. 하나님을 떠난 인간에게는 보호막이 사라졌다. 현재인들은 무엇인가를 열심히 쫓아가고 있지만, 열심의 이면에는 짙은 불안이 깃들어 있다.
저자 이규현 목사(부산 수영로교회 담임)는 누가복음 15장에 나오는 탕자의 비유를 가지고 이 책을 집필했다. 탕자의 비유는 탕자인 아들의 이야기가 주가 되는 것 같지만, 사실은 탕자를 기다리는 아버지의 마음을 말씀하고 있다. 아버지가 있었기 때문에 탕자가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독자들이 탕자의 비유를 통해 하나님이 누구인지를 살펴보고 깊이 만나길 소망한다.
저자는 책 속에서 “우리는 탕자의 비유를 들으면 흔히 둘째 아들에게 초점을 둔다. 그런데 예수님은 이 탕자의 비유를 말씀하실 때 초점을 둘째 아들에게 두지 않으셨다. 이 말씀을 바리새인들을 향해 하셨으니, 예수님의 초점은 맏아들에게 맞추어져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도 정확한 답은 아니다. 사실 예수님은 아버지에게 초점을 맞추고 이 말씀을 전하셨다. 탕자의 비유에서 중심인물은 아버지다. 아버지가 없다면, 이야기가 진행될 수 없다. 만약 아버지가 없었다면 먼 나라로 떠났던 둘째 아들은 집으로 돌아오지 않았을 것이다. 아버지가 있었기 때문에 그는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우리는 탕자의 비유에서 아버지가 누구인가를 살펴보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둘째 아들은 지금 말도 안 되는 것을 아버지에게 요구했다. 그런데 아버지는 아들의 요구를 거절하지 않았다. 왜 그랬을까? 더 깊이 생각해 보면, 아버지는 사랑하기 때문에 아들에게 무엇이든 줄 수 있다. 유산을 내어줌으로 아들이 당할 고통, 그보다 더 큰 고통을 아버지로서 겪어 내리라 각오한 것이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아버지는 아들이 인생의 끝에 이르러서야 돌아올 것까지 내다보고 있는 것이다. 아버지는 유산을 주지 않아야 하지만, 주어야만 하는 상황을 받아들이고 있다. 아버지의 마음은 어제나 오늘이나 같다. ‘나는 네게 모든 것을 다 줄 수 있다. 나는 너를 사랑한다.’ 우리를 향한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이 그렇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람에게는 회귀 본능이 있다. 힘들고 어려운 때에 사람들은 자신이 있던 곳, 마음의 고향을 생각한다. 그동안 둘째 아들은 아버지의 집을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생각하고 싶지도 않았고, 허랑방탕하게 사느라 아버지의 집을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그러나 이제 아버지의 집이 생각났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모든 것이 순탄할 때에는 하나님을 생각하지 않는다. 하나님의 사랑을 생각하지 않는다. 자기에게 도취되어 살아간다. 하나님을 찾으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춥고 배고프면 하나님을 찾는다. 살려 달라 부르짖는다. 모든 것이 은혜이다. 당연한 것은 하나도 없다. 잃은 후에 이것을 깨달으면 안 된다. 은혜를 경험해야 철이 든다. 은혜를 받은 사람은 평범하게 누리는 일상을 당연한 것이라 여기지 않고 감사하고 감격한다”고 했다.
끝으로 저자는 “아버지는 집으로 돌아오는 둘째 아들을 보고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었다. 이것은 완전한 용서를 의미한다. 아버지는 둘째 아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아버지의 용서는 완전하다. 아버지는 둘째 아들에게 아무것도 묻지 않았다. 아버지는 말할 기회도 주지 않으셨다.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으셨다. 아버지는 아들이 돌아온 것으로 만족했다. 아들을 향한 아버지의 사랑은 매우 컸다. 둘째 아들이 지은 죄보다 아버지의 사랑이 훨씬 컸다. 아버지는 아들을 용서했기 때문에 아들을 기다렸다. 만일 아들을 용서하지 않았다면, 아버지는 아들을 기다리지 않았을 것이다. 세상에서는 용서할 수 없는 일이 많다. 용서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자신이 지은 죄에 대한 죗값을 지불해야 한다. 그런 세상에 물들어 있는 우리는 용서받기 위해 회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회개하기 전에 우리를 먼저 용서하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