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론] 무엇으로부터 구원을 받는가?(1)

오피니언·칼럼
기고
  •   
최더함 박사(Th.D. 바로선개혁교회 담임목사, 개혁신학포럼 책임전문위원)

* 본지는 최더함 박사(Th.D. 바로선개혁교회 담임목사, 개혁신학포럼 책임전문위원)의 논문 ‘구원론’을 연재합니다.

최더함 박사

“또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그의 아들이 하늘로부터 강림하실 것을 너희가 어떻게 기다리는지를 말하니 이는 장래의 노하심에서 우리를 건지시는 예수시니라”(살전 1:10)

“여호와의 날이 가깝도다 가깝고도 빠르도다 여호와의 날의 소리로다 용사가 거기서 심히 슬피 우는 도다 그날은 분노의 날이요 환난과 고통의 날이요 황폐와 패망의 날이요 캄캄하고 어두운 날이요 구름과 흑암의 날이요 나팔을 불어 경고하며 견고한 성읍들을 치며 높은 망대를 피는 날이로다 내가 사람들에게 고난을 내려 맹인같이 행하게 하리니 이는 그들이 나 여호와께 범죄하였음이라 또 그들의 피는 쏟아져서 티끌같이 되며 그들의 살은 분토 같이 될지라 그들의 은과 금이 여호와의 분노의 날에 능히 그들을 건지지 못할 것이며 이 온 땅이 여호와의 질투의 불에 삼켜지리니 이는 여호와가 이 땅 모든 주민을 멸절하되 놀랍게 멸절할 것임이라”(스 1 1:14~18)

1. 다양한 구원의 의미

한 조사기관에서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구원이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얻었습니다. 조사자들은 그리스도인들이 복음의 근본 진리에 대해 나름대로 기본 지식을 갖추고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는 예상 밖이었습니다. 1000여 명의 답변 가운데 구원의 의미를 그런대로 정확하게 설명한 사람은 채 10명도 안되었습니다. 제일 많은 대답은 구원이란, ‘천국 가는 것’이라 대답했습니다. 말은 맞습니다. 그러나 이 정도 가지고는 복음이 증거하는 구원을 증거하고 설명하기엔 역부족입니다.

성경에서 구원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가장 궁극적인 구원의 의미는 물론 ‘하나님과의 화해’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구원받기 전에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 자였고, 공중의 권세잡은 자를 추종하였고 육체의 욕심을 따라 살았던 자였고 본질상 진노의 자녀였습니다.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 있던 자가 아니라 그리스도 밖에 있던 자였고 언약에 있어서 외인이었고 하나님도 없는 자였습니다. 한 마디로 하나님과 원수 된 자였습니다.

“그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를 살리셨도다. 그때 너희는 그 가운데서 행하여 이 세상 풍조를 따르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으니 곧 지금 불순종의 아들들 가운데서 역사하는 영이라. 전에는 우리도 다 그 가운데서 우리 육체의 욕심을 따라 지내며 육체와 마음의 원하는 것을 하여 다른 이들과 같이 본질상 진노의 자녀이었더니”(엡 2:1~3)

“그때에 너희는 그리스도 밖에서 있었고 이스라엘 나라 밖의 사람이라 약속의 언약들에 대하여는 외인이요 세상에서 소망이 없고 하나님도 없는 자였더니”(12절)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이제 이렇게 변하였습니다. 19~22절을 계속 읽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제는 너희는 외인도 아니요 나그네도 아니요 오직 성도들과 동일한 시민이요 하나님의 권속이라. 너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우심을 입은 자라 그리스도 예수께서 친히 모퉁잇돌이 되셨느니라. 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가고, 너희도 성령 안에서 하나님이 거하실 처소가 되기 위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지어져 가느니라”(엡 2:19~23)

그러나 성경에서 구원은 반드시 영혼 구원만을 가리키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이런 경우에도 구원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사도행전 16장에 보면, 전도 여행을 하던 중 바울과 실라가 빌립보 감옥에 갇힙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큰 지진을 일으켜 그들을 빌립보 감옥에서 구해 주셨습니다. 공포에 질린 간수는 바울과 실라에게 “선생들이여 내가 어떻게 하여야 구원을 받으리이까”라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바울은 즉시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받으리라“고 대답했습니다. 여기서 바울이 말한 구원의 의미는 궁극적인 구원을 말한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런데 간수의 어떤 의도로 그런 질문을 던진 것입니까? 알다시피 간수는 죄수를 지키는 임무를 담당하는 관리입니다. 당시 법에 따르면 죄수가 탈옥하면 간수가 대신 벌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 벌은 사형을 포함한 매우 중한 벌이었습니다. 그래서 간수는 그 벌이 무서워 벌벌 떨며 하나님의 사람으로 보이는 바울과 실라에게 매달려 애원을 한 것입니다. 물론 간수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염두하고 그런 질문을 던진 것으로도 볼 수 있지만 그는 당장 자신이 받을 벌에서 어떻게 구원을 받을 것인가를 간절히 찾았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또 하나의 사례를 들어 봅니다. 예수께서 한 동네에 계실 때에 온몸에 나병 든 사람이 예수님께 자신을 깨끗하게 해 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이에 예수님은 손을 내밀어 그에게 대시며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신대 나병이 곧 떠났습니다(눅 5:12~13). 이 나병환자는 자신의 질병을 고침 받음으로 구원을 받은 것입니다.

또 안식일에 손 마른 자의 손을 회복시키셨습니다. 이 사람에게 손이 회복된 것은 가장 절실한 소원이 이루어진 것입니다(눅 6:6~11).

이런 사례들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성경에서 구원은 영혼 구원이라는 절대적인 목적이외에도 일반적인 구원을 가리키는 사례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특히 구약에서 구원은 일반적으로 ‘재난이나 불행에서 구조되는 것’을 뜻합니다. 외적의 침입을 받아 이스라엘 백성의 패색이 짙어갈 즈음, 갑자기 하나님의 개입으로 전세가 역전되어 승리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때마다 이스라엘 백성은 “구원을 받았다”고 외쳤습니다. 또 앞에서도 열거했지만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치유된 경우에도 “구원을 받았다”는 말이 사용되었습니다. 오늘날에도 ‘구원’이라는 용어가 이와 같은 용례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상대편 선수의 주먹을 받고 링 바다에 쓰러졌습니다. 이에 주심이 카운터를 세는데 막 열을 세려는 순간 종이 울려 카운트가 중단되었습니다. 이때 우리는 “종이 그를 구원했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구원이라는 의미가 어떤 뜻으로 사용되었는지 살펴본 바가 있습니다.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구원받다’라는 히브리어 동사와 헬라어 동사의 용례를 다시 살펴봅니다. (계속)

#최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