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역사학회(이재근 회장)가 14일 오후 제410회 학술발표회를 온라인 ‘줌’으로 개최했다. 이날 김일석 박사(장신대 역사신학)는 ‘해방정국기 한경직의 건국신학 연구-전도입국론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제했다.
김 박사는 “한경직은 해방정국(1945년 8월 해방 직후부터 1948년 8월 제1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3년간을 지칭한다. 그동안 연구자에 따라 ‘미군정기’나 ‘해방공간’이라는 표현이 혼용되기도 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방정국으로 통칭하고자 한다)에서 새로이 건설될 나라는 기독교적 민주주의 국가여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했다.
그리고 “그 방책으로 전도를 통한 건국론을 펼쳤다. 이른바 전도입국론(傳道立國論)이 그것이다. 교회는 당회(堂會)라는 기구가 상징하듯 대의민주제로 운영되는데, 따라서 교회가 많아질수록 그 안에서 훈련받은 그리스도인들이 대거 사회로 진출하게 되면서 나라 역시 점진적으로 민주화가 될 것으로 본 것”이라며 “해방정국 당시에 새로이 세워질 나라의 정체(政體)가 될만한 후보군으로는 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비롯하여 기독교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역시 공존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한경직은 기독교적 민주주의 국가야말로 최선이라고 여긴 반면 공산주의를 국가와 교회의 적으로 지목한다”고 했다.
그는 “한경직은 해방 당시 서북 지역을 대표하는 목회자 가운데 한 명이었고, 월남 이후 영락교회를 창립하여 부흥시키며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인물로 부상하게 된다”며 “따라서 해방정국에서 한경직이 견지하던 국가관 및 정교분리관 곧 교회와 국가의 상관성을 추적하여 밝히는 작업은 오늘날 한국교회가 갖고 있는 국가관의 원형을 탐색하는 작업이 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해방을 맞아 한경직은 건국이라는 민족적이고 역사적인 과제 앞에서 영락교회 강단을 통해 기독교적 민주주의 국가가 세워지기를 열망하는 설교를 행한다”며 “그러나 정교분리 원칙에 따라 교회로서는 직접적인 정치운동에 나설 수가 없다고 생각한 한경직은 교회만이 할 수 있는 건국운동을 창안해내는데 그것은 바로 ‘전도’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도가 곧 최대의 정치운동’이라는 이른바 전도입국론(傳道入國論)을 확립하여 건국을 위한 교회의 방법론으로 제시한 것”이라며 “이는 대의민주제를 교회정체로 삼는 장로교회가 많이 세워지면 그 교회를 통하여 민주제도를 접하고 익힌 성도들이 사회의 곳곳에 포진하여 민주정신을 발휘하면서 새로이 세워진 나라 역시 자연스레 민주화된다는 논리였다”고 했다.
김 박사는 “한경직의 이러한 주장은 그가 체득한 지적이고 신학적인 배경에 기인한다”며 “한경직은 오산학교에서 서북 지역의 실력양성론을 배우며 개인의 역량을 극대화하여 나라에 봉사하는 선적이고 점진적인 방법론을 깨우치게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경직의 이러한 건국신학은 우리나라가 민주주의 국가로 수립되는 기독교적 정당성을 제공하였고, 건국론을 선교론으로 치환하여 교회와 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결했으며, 교회성장을 위한 신학적 기틀을 마련하는 등의 기여를 하게 된다”고 했다.
아울러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경직의 방법론은 남북 분단을 신학적으로 정당화하고 말았다”며 “따라서 한경직의 전도입국론은 해방 이후 한국교회의 신학적 스펙트럼이 이념에 종속되며 협소화되는 결과를 낳았고 장차 화해를 근간으로 한 통일을 지향하는 신학으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