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극복 위한 교회 역할… ‘마을공동체운동’”

  •   
정재영 교수, 가정교회마을연구소 주최 마을목회동역자연합모임서 강연
정재영 교수. ©마을목회TV 영상 캡처

정재영 교수가 지난 25일 가정교회마을연구소 주최 마을목회동역자연합모임에서 “사회적 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교회의 역할을 무엇인가”라고 물으며 “교회는 시민 조직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공공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연결망을 발전시키기에 매우 적합한 장소”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교회는 교인들이 그리스도의 충실한 제자가 될 뿐만 아니라 이 사회의 건실한 시민이 될 수 있도록 가르치고 격려해야 할 것”이라며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잘 지각해서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마을공동체운동’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마을공동체는 일종의 주민자치운동이며, ‘마을’은 주민 전체가 공동으로 이용하며 활용할 수 있는 장을 총칭한다. 마을 만들기는 이러한 공동의 장을 시민이 공동으로 만들어내는 작업”이라며 “산업화의 결과로 전통의 공동체들이 와해되고 정신적 규준이 무너지고, 코로나 사태로 인해 근본으로부터 변화를 요구하는 현재 상황에서, 삶의 기반을 공유하는 지역사회에서 공동 의식에 터한 공동체를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위드 코로나19 시대에 마을공동체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강연한 정재영 교수(실천신대 종교사회학)는 “코로나 사태이후에 종교에 대한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와 불안감으로 종교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이라고도 하지만 한편에서는 전염병에 대처하는 종교인들과 종교 기관에 대한 실망으로 종교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한다”고 했다.

이어 “18세기 리스본 대지진 이후에 종교가 몰락한 것은 오늘날 종교에 큰 교훈이 된다”며 “사회적 재난에 대해서 종교가 올바른 의미를 부여하고 위기 극복을 위해 종교가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사람들은 종교에 등을 돌리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뉴노멀은 시대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표준으로, 미국발 경제 위기 이후 5~10년간의 세계경제를 특징짓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이것을 코로나 상황에 적용한 것”이라며 “코로나 시기에는 무조건 열심히 일하는 것이 미덕이라고 여기던 생각이 바뀌어서 아프면 쉬고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돌보는 것이 중요하게 여졌다”며 “그리고 위생이 열악한 근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앞으로는 가능하면 대규모 모임을 피하고 될 수 있는 대로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언택트’ 방식의 상거래와 상품 주문, 온라인 회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고 재택근무가 선호될 것”이라며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사람들이 느끼는 불안, 우울, 무기력감이 증가하면서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가 생겨 났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서적인 불안정은 교회에 대해서는 공동체성을 약화시킴으로써 전도의 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고, 또한 우리 사회 구성원들에 대해서도 무기력증과 우울감으로 대인기피증에 빠지게 하여 사회활동에 대한 의욕을 저하시킴으로써 종교활동에 대한 관심 자체를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며 “따라서 코로나 블루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교회 공동체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일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마을 목회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에 대한 목회데이터연구소의 연구 자료에 따르면 교회의 신뢰도가 하락하고 있는 현실에서 마을 목회는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마을 목회에 참여하고 있는 목회자 중 79%는 ‘마을에서 진정성을 인정받아 목회자는 다르다고 인정하거나 칭찬을 해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65%는 마을 주민이 처음에는 마을 목회에 무관심하거나 비협조적이었으나 나중에는 이해해주고 적극 협력했다고 답한 것도 마을 목회가 교회의 이미지 개선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마을 목회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이다. 마을 목회에 참여하고 있는 목회자들의 79%는 마을 목회 사역을 확대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 축소할 생각이라는 목회자는 1%에 그쳤다”며 “마을 목회의 중요성은 아직 마을 목회를 시도하지 않은 목회자들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마을 목회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목회자들도 대부분 필요성을 느낀다고 생각했고, 여건이 갖춰지면 마을 목회를 할 의향이 있다는 목회자들도 많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큰 교회는 다양한 사역들을 하기에 마을 목회에 큰 비중을 두고 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작은 교회들이 마을 목회에 참여를 많이 하고 있다. 큰 교회는 복지사역과 구제사역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작은 교회들이 오히려 여러 가지 사역을 하고 있다”며 “그런 점에서 작은 교회들은 지역 밀착형 교회들로서 마을 활동을 전개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중형 교회는 소형교회의 역할과 교동 협의회나 지역교회 협의회의 촉매자 역할을 할 수 있다. 대형 교회는 소·중형 교회의 역할과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중간지원조직이란 행정과 시민 또는 지역사회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지역문제 해결을 하는 주체와 사회적 의제를 지원하는 조직을 말하며, 마을 활성화를 위해 생태계 조성자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앞으로의 과제는 교회에서나 사회에서나 아직은 마을 공동체에 대한 낮은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마을 목회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며 “또 단순히 사회봉사를 넘어 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마을 목회에서 인적, 물적 자원은 중요한 변수가 아니”라고 했다.

아울러 “마을 목회에 대한 전문성을 키우고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형성과 체계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구성이 필요하다”며 “협력하고 경험도 나누며, 정서적으로 서로가 연대하고 나누며, 격려하고 위로받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역할을 중간지원조직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확장해 간다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재영교수 #실천신대 #마을목회 #마을공동체운동 #코로나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