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현대사, 대한민국, 그리고 기독교(3)

오피니언·칼럼
기고
  •   

III. 일제시기 조선사회와 기독교(대한민국의 씨앗)

박명수 교수 ©기독일보 DB

슈펠트의 지적대로 한반도는 동북아의 세 국가, 즉 중국, 일본, 러시아의 전쟁터였다. 이런 가운데서 한국인들은 미국에 의지해서 새로운 근대국가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런 꿈이 조미조약 제 1조 거중조정의 항목에 담겨져 있다. 물론 이 거중조정은 중국이 넣은 항목이지만 고종은 이 항목을 이용해서 미국을 지렛대로 주변 3국의 간섭을 막아 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미국은 한반도에 큰 관심이 없었다. 미국은 한반도가 특정 국가에 독점되지 않고, 이곳에서 자유경쟁을 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면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처음에는 중국의 종주권에 대해서 반대했고, 그 다음에는 러시아가 한반도를 주도하는 것을 반대했다. 그 결과 자연스럽게 미국은 일본과 밀착하게 되었고, 카쓰라 태프트 조약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일본이 동북아로 그 패권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서 경계하였다. 이런 미국과 일본의 갈등이 바로 한반도의 희망이었다.

1907년 대부흥운동은 이런 상황에서 일어나게 되었다.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해서 한국은 미국의 도움이 필요했고, 이런 상황에서 미국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그래서 사람들은 교회로 나오게 되었고, 이것은 1907년 대부흥운동으로 이어졌다. 당시 많은 기독교인들은 한국에 신자가 많아지면 미국이 한국을 도와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1908년부터 일어난 백만구령운동과도 맥을 같이 한다. 사실 이것은 기독교만의 일이 아니었다. 한일병합 직전 대한매일신보의 사설에는 기독교를 국교로 해서 새로운 나라를 만들자는 서설이 연속으로 게재되기도 하였다. 당시 한국인들은 미국과 기독교에 큰 기대를 걸고 있었던 것이다.

이같은 미국과 기독교에 대한 기대는 한일병합 이후에 더욱 강화되었다. 특히 미주에 사는 한인들은 과거 대한제국은 잊어버리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런 생각은 대한제국이 망한 바로 그 다음 달 [신한민보]에서 기사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런 생각은 미주 한인들의 모임인 대한인국민회의 각종 기록에도 나오고 있다. 이같은 입장이 가장 잘 표현된 것은 1917년 뉴욕에서 열린 소약국대회(小弱國大會)에서 행한 박용만의 연설이다. 당시 이승만의 지시와 후원으로 이 대회에 참석한 박용만은 그의 연설에서 “한국에서 기독교는 민족종교(national religion)로서 간주되어 왔고, 우리는 기독교만이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 유일한 희망이라고 믿습니다.”고 말하며, 이것은 선교사들이 전해 준 민주주의 때문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 우리는 미국인들로부터 미국의 이상, 미국의 제도, 그리고 위대한 미국이 만든 참된 자유와 참된 민주주의에 대해서 배워왔습니다. 이리하여 우리는 “자유가 아니면 죽음”이 자주민의 정신이라는 것,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태어 났다는 것”이 참된 민주주의의 기초라는 것,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국민의 정부”가 민주적인 기관의 원칙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윌슨 대통령으로부터 “어떤 정부의 정당한 권력은 오직 피통치자의 동의에서 나와야 한다”는 것과 “모든 국민은 그들이 살아가야 할 정부를 선택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이같은 우리 민족의 기독교와 민주주의에 대한 기대는 3.1 운동을 통해서 더욱 분명하게 표현되었다. 1918년 11월 말, 상해의 신한청년당은 윌슨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야소교를 국교로 인정하여 민주주의와 자유의 가치가 조선에 들어왔다.”고 주장하며, 우리도 미국과 같은 민주국가를 만들기를 원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런 것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한 것은 미국에 있는 교포들이다, 이들은 상해에서 임시정부가 세워진다는 소식을 듣고, 이승만은 4월 7일에 연합통신과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번 독립운동의 인도자들의 주의는 한국으로 동양에 처음되는 예수교국을 건설하겠다”고 밝혔고, 이것을 일본경찰은 “조선은 미국의 제도와 및 동일한 정신 아래 기독교독립국을 건설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승만은 이런 내용을 당시 국내의 독립운동가들이 상해에 파송해서 임시정부의 수립을 준비하던 감리교목사 현순에게 알렸다. 그리고 이런 기초위에서 원래 초안으로 작성된 1919년 4월 10일의 가헌법 1조에는 “대한공화국은 미국의 정부를 모방하여 민주정부를 채택한다”(The Republic of Korea adopts a democratic government after that of the United States.)라고 되어 있다. 이 초안을 조소앙, 신익희, 이광수가 검토하였고, 그 결과 제 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으로 한다고 수정하였다. (조소앙, 신익희, 이광수는 초안을 작성한 사람들이 아니고, 초안을 검토한 사람들이다.) 미국식 민주주의는 바로 민주공화국의 전형적인 경우이므로 초안과 통과된 안은 같은 것이다. 미국의 교포들은 1919년 4월 중순 필라델피아에서 모여서 앞으로 새로운 나라가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방향은 기독교정신에 입각한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였다.

3.1 운동과 임시정부가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은 우리 민족은 중국의 봉건주의도, 일본의 식민주의도 부정하고, 서구 기독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근대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것이다. 일본은 개항 이후 일본을 통한 근대화를 우리에게 강요해왔다. 하지만 한국인들으 일본을 통한 근대화 보다는 미국과 기독교를 통한 근대화를 주장했던 것이다. 이런 새로운 방향은 서재필, 윤치호, 이승만, 안창호, 이상재를 비롯한 기라성같은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을 통하여 우리에게 널리 전파되었다. 특별히 일본의 식민통치가 지속되는 동안 기독교는 미국을 비롯한 세계와 연결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통로가 되었다. (계속)

박명수 박사(서울신대 명예교수)

#박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