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주일학교로 단계적 일상회복을 하자
위드코로나는(with+corona) 코로나와 같이 간다는 뜻이 담겨 있다. 코로나를 완전히 박멸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일반 감기처럼 생각하고 코로나와 같이 간다는 의미이다. 한국교회는 ‘위드 코로나’를 넘어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 시대가 될 것이다.
주일학교위기는 코로나 이전부터 있었다. 이대로 가다가는 주일학교가 무너진다는 위기의식과 함께 코로나19로 인해 더욱더 심각해졌다. 출석 일수를 채워야 하는 일반 학교와 달리, 주일학교는 학생의 자율에 맡긴다. 학생이 오지 않으면 운영할 수 없다는 뜻이다. 학생 수 감소가 주일학교 운영에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이유다. 주일학교 교사 수 감소도 문제다. 교사가 부족하면 학생들이 활발하게 참여해도 주일학교 운영이 난관이 부딪히게 된다.
학생과 교사 수가 감소하는 데는 공통적인 이유가 있다. ‘신앙’보다 ‘학업’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커진 까닭이다. 학원은 주일학교의 가장 큰 경쟁자이며, 시험기간에 학생들이 주일학교를 빠지는 것이 낯선 일은 아니다. 교회의 주요 직분자조차도 자녀들의 신앙보다 대학입시를 우선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코로나19는 주일학교를 더욱 움츠러들게 했다. 현재도 정부의 방역지침은 예배를 제외한 종교 활동을 제한하고 있다.
‘위드코로나’시대, 주일학교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주일학교가 신앙을 바탕으로 한 집단면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주일학교가 고민해야 한다.
주일학교 현장예배의 중요성을 교육시켜라
영상예배는 코로나19로 인한 임시방편이다. 다시 현장예배의 중요성을 강조해 현장예배에 다음세대들이 오게 해야 한다. 여전히 많은 부모들은 현장예배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부모와 교사와 교회를 신뢰할 수 있도록 방역조치 뿐만 아니라 신앙관리 또한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부모를 다음세대 교육의 파트너로, 동역자로 삼아야 한다. 한국 성도 10명 중 약 7명이 굳이 현장예배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이후 성도들의 예배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다는 뜻이다. 부모와 함께 와야 할 아이들이 부모들이 코로나로 인해 현장예배에 오지 못하니 아이들도 당연히 교회에 나올 수 없다.
주일학교교사들은 어려움을 호소한다.
① 교회에 와서 코로나에 걸리면 어떻게 하지? 불안하다
② 지금 이 상황에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 보여요
③ 부모님이 보내지 않아요
④ 아이들이 연락을 안 받아요
⑤ 코로나가 언제 끝날지 출구가 보이지 않아요
코로나가 잠시 잠잠해졌던 때 주일학교는 다시 문을 열었지만, 예배에 참석하는 비율이 예전의 30~50% 이하로 떨어졌다고 한다. 코로나19는 다음세대에 있어서 크게 ‘예배’와 ‘주일성수’의 중요성이 문제가 되었다. 코로나 이전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갔다. 대부분 주일학교는 ‘유튜브’나 ‘줌’ 등을 활용해 온라인으로 예배하고, 교육을 진행했다. 그동안 교역자들과 교사는 영상제작과 콘텐츠를 제작하고 SNS를 통해 공유하며, 교육 자료를 가정으로 보내며 학생들의 참여를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였는가?
하지만 비대면 콘텐츠도 한계는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피로 누적이 발목을 잡는 탓이다. 장기간 적지 않은 인력과 비용, 시간을 들이다 보니 콘텐츠 제작에 대한 피로도는 높아져 간다. 쏟아지는 온라인 콘텐츠 속에서 학생들의 집중력도 떨어진다. 이는 교사들의 사기 저하로도 이어진다. 가장 큰 걱정은 온라인에 익숙해져 버린 학생들 머릿속에 교회에 가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이 자리 잡는 것이다.
교회 밖 세상은 따라가기 힘겨울 정도로 변화의 속도가 빠르다. 메타버스 시대에 교회는, 그리고 다음세대를 양육하는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예배에 나오는 아이들에게 이름 한 번 더 불러주고, 눈도 한 번 더 마주치려 노력해야 한다.
‘모이지 않는 주일학교’를 ‘모이는 주일학교’로, ‘흩어진 주일학교’를 ‘몰려오는 주일학교’, 아니 부흥하는 주일학교로.
고상범 목사(주일학교사역자연구소장·주사모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