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그리스도의 근본적 은유로서의 도에 관하여

목회·신학
신학
김재건 기자
haeil2021@gmail.com
  •   
김흡영 강남대 명예교수, <기독교사상> 9월호에 기고
김흡영 강남대 신학과 명예교수 ©기독일보 DB

이른 바, '도의 신학'을 주창한 김흡영 강남대 명예교수(조직신학)의 '예수 그리스도와 도의 신학2'라는 제목의 글이 <기독교사상> 9월호에 실렸다. 도와 그리스도론의 접목을 시도한 해당글에서 김 교수는 "생명과 진리의 길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곧 도道이시다"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그는 태극과 무극이 일치(無極而太極)를 이루는 지고한 역설의 완성이며, 원초적 숨님이며, 비존재적 존재(Being-in-Nonbeing)이며, 완전한 형태를 이루는 완전한 비움(kenosis)이다"라고 서두를 열었다.

이어 "십자가는 우주변화의 길(道)로의 돌진을 언표하며, 부활은 신神-인간-우주적 궤적에 대한 그리스도론적 변혁을 의미한다. 예수의 십자가 죽음은 우주의 길을 변화시키는 우주생성적(cosmogonic) 못 박힘이다"라고 했다.

나아가 "그것은 도의 옛 형이상학적 세계, 즉 태극太極과 역易에 존재하던 역사적 악순환을 근본적으로 열어젖히는 사건을 의미한다"며 "이것은 태극의 개벽開闢을 언표한다. 옛 태극의 우주생성은 무극無極으로 십자가형에 처해지고, 새로운 태극太極으로서, 다시 말해 지고한 역설의 위대한 종말론적 운동으로서 부활했다"고 했다.

또 "그것은 그저 교리적인 혁명(logos)만도 아니요, 단순히 메시아적 영감을 받은 사회 변혁(praxis)도 아니다. 그것은 우주생성적 혁명이다. 도로서의 그리스도 곧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부활한 태극은 그리스도의 우주 생성적 혁명을 내포한다"고도 덧붙였다.

그에 따르면 그리스도는 십자가의 죽음을 통해 태극의 옛 인간-우주적인(anthropo-cosmic) 고리 속으로 돌진해 들어가서 그것을 상서로운(serendipitous) 신-인간-우주적 (theo-anthropo-cosmic) 궤적으로 변화시키고, 태극의 새로운 시대(aeon)를 열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 같은 그리스도의 사건이 "우주생명의 대변혁과 대개벽을 예고하고 성취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는 곧 도라는 주장이 마치 등가 개념으로 오해되는 것을 우려하며 도를 어디까지니 은유로 선택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도를 예수 그리스도의 근본 은유로 선택하는 '도 그리스도론'의 구성은 여러 가지 정당한 이유들이 있다"며 "첫째 우리 또는 동아시아인의 신앙 고백적 그리스도론을 수립하기 위해 우리 전통사상의 중심 개념인 도를 근본 사유로 선택한 것은 서구의 로고스 신학이 그랬던 것처럼 맥락적 당위성을 가진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이어 둘째로 "성서적 전거"를 들었다. 그는 "예수는 자신을 로고스라고 하기보다는 '길'이라고 주장했고(요14:6), 사도행전에 나오는 기독교에 대한 최초의 호칭은 '호도스'이고 한글 성서에서는 이를 '도'라고 번역했다. 심지어 도마복음에는 '로고스'라는 말이 나오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도를 그리스도의 은유로 선택한 세번째 이유로 김 교수는 "현대 성서학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근본 은유로서 도의 타당성을 더욱 확증해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흥미롭게도 '제3의 역사적 예수 탐구'는 도의 신학과 유사한 결론에 도달했다. 예수는 정통적 종교(로고스)의 창시자이거나 종말론적 혁명가(프락시스)라기보다는 삶의 길(道)애 관한 지혜로운 스승이요, 현재에 가깝다는 것이다"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서구 신학자들조차 로고스 그리스도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며 "독일 신학자 불트만은 고전적 로고스 그리스도론을 거부하고 그리스도론의 핵심 상징으로 오히려 '길'(way)를 채택했다"는 점을 꼽기도 했다.

그에 따르면 불트만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대한 논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나는 더 이상 두 본성들 안에 있는 한 인격이라든지, 역사적 인격성과 같은 그리스도에 관한 정적인 사고를 하지 않을 것이다" 불트만은 길 위에서 동적인 사고로 그리스도를 새롭게 바라보겠다는 입장이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