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장애인들의 신체 건강과 정신 건강이 모두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서비스를 받는 장애인 5명 중 1명이 돌봄서비스 중단을 겪었고, 감염병 관련 정보를 얻는 데도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재활원은 25일 장애인 2454명과 비장애인 999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9일부터 12월 6일까지 실시한 '장애인의 코로나19 경험과 문제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장애인 14.7%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새로운 건강문제가 생기거나 건강이 악화됐다. 비장애인은 9.9%였다. 반면 건강 악화로 진료를 받은 비율은 장애인(36.8%)이 비장애인(52.5%)보다 낮아 의료접근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에게 새롭게 발생 및 악화된 건강문제는 근골격계 증상 및 질환 36.6%, 정신 질환 27.3%, 당뇨병 10.1% 순이다.
외로움과 우울감도 심해졌다.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한 비율이 장애인(44.6%)이 비장애인(36.1%)보다 8.5%포인트 높았다. 매우 많이 느낀다고 답한 비율도 장애인(16.7%)이 비장애인(5.9%)보다 10.8%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우울감을 느끼는 비율은 장애인(38.2%)이 비장애인(40.1%)보다 1.9%포인트 낮았으나, 매우 많이 느끼는 비율은 장애인(13.1%)이 비장애인(6.6%)보다 6.5%포인트 높았다.
코로나19 전·후 삶의 만족도가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장애인(44.0%)이 비장애인(34.6%)보다 1.3배 높았다.
전체 장애인 중 32.0%가 돌봄서비스를 받은 적이 있으며, 이들 중 18.2%가 코로나19로 인해 돌봄이 중단된 경험이 있었다.
돌봄서비스 중단 이유는 '코로나19 감염 위험에 대한 불안감'(44.1%), '사회적 거리두기가 어려워서 기피'(21.0%)였다. 이로 인해 가족의 돌봄 부담이 늘어나고 외출이 어려워졌다고 답했다.
신체장애로 인해 혼자 손씻기, 소독하기 등 개인위생을 실천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장애인의 예방수칙 준수율이 가장 낮은 항목은 소독하기(79.3%), 거
리유지하기(80.3%), 눈·코·입 만지지 않기(83.6%)순이다.
코로나19로 외출 시 위험을 느끼는 비율도 장애인(81.3%)이 비장애인(76.0%)보다 5.3%포인트 높았다.
장애인 22.4%가 코로나19 관련 정보습득이 어렵다고 답해 비장애인(18.2%)보다 높았다. 어려움을 겪은 이유는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찾는 방법을 모름'이 46.1%로 가장 높았으며, '이해하기 쉬운 그림, 영상 등을 통한 안내서비스 부족'(35.0%), '수어통역 미비 및 화면해설 서비스 부족'(23.2%) 순으로 나타났다.
호승희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건강보건연구과장은 "코로나19 이후 장애인은 건강문제 악화, 외로움, 불안, 우울감, 돌봄서비스 중단 및 정보습득의 어려움 등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고통을 겪으며 삶의 만족도가 크게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국립재활원은 코로나19로 건강관리가 어려운 재가장애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을 위한 재활 교육용 동영상 자료를 국립재활원 홈페이지 자료실(www.nrc.go.kr) 및 유튜브 채널에서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