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께 기도드리는 모습을 보면 참으로 다양합니다. 건성으로 드리는 분이 있는가 하면 눈에 힘을 주어 꾹꾹 감고 쒸쒸 거리는 분,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는 분, 조용히 입술만 움직이며 속삭이는 분... 모두들 하나님을 만나고 있겠지요.
예배를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인간의 응답이라고 정의합니다. 세상의 모든 종교가 인간이 신을 찾아 부르는 것과는 달리 기독교는 하나님께서 사람을 먼저 부르십니다. 아담아! 아브라함아! 사무엘아! 사울아! 지금도 우리를 향하여 부르고 계십니다. 명엽아!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이 자리에 있는 우리, 지금 이 자리가 곧 예배의 자리인 것입니다. 탕자의 비유(누가복음 15:11-32)를 상기해봅시다.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눅2;11-24)
아버지가 언제부터 대문 밖에서 집 나간 아들을 기다렸을까요. 집을 나간 그때부터 아닐까요. 오랫동안 기다리던 아버지에게 돌아와 아버지 품에 안기는 ‘만남’이 예배입니다. 아버지께 자신의 죄를 고하는 회개와 용서받는 사죄의 ‘대화’가 예배입니다. 회복된 아들의 자리에서 기쁨으로 ‘잔치’ 자리에 참여하여 즐거움을 누리는 것이 예배입니다. 이를 가리켜 예배학자인 웨버(Robert Webber)는 ‘만남’이라 했고, 헉스터블(John Huxtable)은 ‘대화’, 몰트만(Jurgen Moltmann)은 ‘메시아적 잔치’, 알멘(Jean-Jacques Allmen)은 ‘구원의 축제’라 했습니다.
대화를 영어로 ‘다이아로그’(dialogue)라 하지 않습니까. 대화의 반대말은 무엇이죠? 독백(獨白), 독화(獨話)라 하지요. ‘모노로그’(monologue)입니다. 혼자 중얼거리는 거지요. 혹 찬송이나 기도를 하며 독백하진 않습니까? 그렇다면 사람에게 보이기 위한 예배, 하나님 없는 예배를 드린 것입니다.
예배에는 하나님으로부터 받는 것(↓)과 드리는 것(↑)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우리의 삶(↑)이 곧 예배입니다. 하나님의 뜻에 응답하는 생각, 철학, 사상, 행동들이 다 넓은 의미, 광의(廣義)의 예배입니다. 우리가 평소 먹고 마시고 공부하고 대화하고 가정생활하고 직장생활하는 것이 다 예배인 것입니다. 그리고 보면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게 사는 나. 곧 내가 예배(찬송)인 것이죠. “주의 제단에 산 제사 드린 후에”(327장)라 찬송하지 않습니까.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의 드릴 영적 예배니라.”(롬12;1)
협의(狹義)의 예배는 공식예배입니다. 주일 예배순서를 보아도 받는 부분과 드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예배순서에서 처음 ‘오르간 전주’, ‘예배에의 부름’(Call to worship), ‘입례송’은 한 분이신 하나님께서 다수의 세상을 향해 오라고 부르시는(↓) 순서이고, ‘찬송’, ‘기도’, ‘주기도’, ‘기도송’, ‘성시교독’ 등 찬미와 고백은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며 우리들이 하나님께 나아가는(↑) 순서입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성경봉독’, ‘설교’의 말씀 선포로 선물을 주시고(↓) 이에 대한 감사로 ‘찬양’, ‘봉헌’, ‘봉헌기도’로 응답(↑)합니다. 이같이 복된 잔치 자리에서 영의 양식으로 채워주시곤 다수의 세상에 내어 보내시며 승리하라고 ‘축도’, ‘축복송’, ‘후주’로 응원(↓)해 주십니다.
어떻습니까? 우리는 하나님을 늘 만나고, 잔치 자리에서 그분과 늘 기쁨으로 대화해야겠습니다. 성경 말씀으로. 찬송으로... 예배는 독백이 아닙니다. 예배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베푸시는 축제입니다.
“하나님은 성경으로 말씀하시고 우리는 찬송으로 응답한다.” (Matin Luther)
이 글은 필자가 진행하는 유튜브 ‘김명엽의 찬송교실’ 동영상으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김명엽 교수(교회음악아카데미 원장) 프로필>
연세대 교수, 추계예대 교수 역임
국립합창단 예술감독, 서울시합창단 단장 역임
한국지휘자협회 고문
제66회 서울시문화상 수상
현) 교회음악아카데미 원장
서울바하합창단 지휘자
#김명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