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울증 등 ‘기분장애’ 진료환자 100만 명 넘어… 여성이 66%

사회
복지·인권
서다은 기자
smw@cdaily.co.kr

2020년 기분장애 질환 연령대·성별 진료인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스트레스 탓에 기분이 변하는 기분장애로 진료받은 환자가 해마다 약 7%씩 늘어 지난해 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 여성이 두 배 많았고, 10명 중 2명은 20대가 차지했다.

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보험 진료 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진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분장애로 진료받은 환자는 101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2016년(77만8000명)과 비교해 23만9000명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6.9%다. 인구 10만명 당 환자는 2020년 1980명으로 2016년(1532명) 대비 29.2% 증가했다.

기분장애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4299억 원에서 2020년 6757억원으로 5년간 57.2% 급증했다. 매년 12.0%씩 늘었다.

기분장애는 기분 조절이 어렵고 비정상적인 기분이 장시간 지속하는 장애를 넓게 일컫는다. 기분뿐 아니라 의욕·흥미·수면·식욕·인지 등 넓은 영역에서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박선영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일시적인 기분 변화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지만, 기분장애에서는 기분의 이상이 상당한 기간, 한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악영향을 줄 정도"라며 "개인의 약함이나 의지박약으로 설명할 수 없다. 제대로 된 치료와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분장애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우울장애, 양극성 장애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기분장애로 진료받은 환자를 살펴보니, 우울에피소드 질환(76만6000명), 양극성 정동장애(11만2000명) 두 질환이 전체 기분장애의 86%가량을 차지했다.

기분장애는 보통 사회·심리·생물학적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우울장애의 주요 증상은 우울감, 삶에 대한 흥미와 의욕의 상실을 보이며 죽음에 대한 생각에까지 빠져들기도 한다. 수면과 식욕 패턴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많은 경우 불면, 식욕 저하를 보이는 데 반대로 수면 시간이 늘어 온종일 자거나 식욕이 증가해 폭식하는 경향으로도 나타난다. 양극성 장애의 주요 증상은 기분이 들뜨는 조증이다. 경과에 따라 기분이 가라앉는 우울증이 독립적으로, 때로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2016~2020년 기분장애 질환 질병코드별 진료인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박 교수는 "조증 시기에는 고양되고 과대하고 과민한 기분이 특징"이라며 "대체로 기분이 고양돼 있지만 사소한 일에 분노를 일으키고 과격한 행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 우울기에는 우울, 불안, 무기력감, 절망감을 호소하고 극단 선택을 생각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기분장애로 진료받은 환자를 성별로 보면 여성(67만1000명)이 남성(34만5000명)의 두 배 수준이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16.8%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16.2%), 50대(14.4%) 등이었다. 다만 성별로 차이가 있어 남성은 20대(18.6%), 60대(14.8%), 50대(14.3%)의 순이고, 여성은 60대(16.9%), 20대(15.9%), 50대(14.5%) 순이었다.

박 교수는 "기분장애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은 주요 우울장애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2배 이상 빈도가 높다. 환자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자주 재발하고 이환 기간이 길어지므로, 고령 여성에서 진료 빈도와 기간이 길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젊은 층에서 불안 장애, 우울장애의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데,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증상의 심각도나 치료와 관련되는 여러 요인(임신·신체적 건강 등)을 고려해, 전기경련 치료나 경두개 자기 자극술(자기장을 이용해 뇌표면에 전류를 발생 시켜 뇌세포를 자극하는 치료술) 등의 치료법도 효과적"이라고 말했다.